안드로이드 이미지 삽입! 원하는 이미지를 입혀보자

이미지를 넣기 위해서는 이미지가 필요하겠죠?

이미지이름영문소문자로 작성을 하셔야해요.

 

우선 원하는 이미지를 복사(Ctrl+C)를 눌러

클립보드에 저장(자동으로 클립보드에 저장됨)을 하신 후

우리가 만든 앱구조에 res -> drawable경로에 붙혀넣기를 하게 되면(drawable 선택 후 Ctrl+V)

아래와 같은 팝업이 나타나게 되는데 OK를 누르면

이미지의 이름을 다시 입력할 수 있는 이름과 경로가 나타나게 되고 

파일 이름 그대로 넣기를 원하신다면 바로 OK를 누르면 됩니다.

잘 들어갔는지 확인하려면 drawable 폴더를 확인하면

main2.jpg라는 이미지가 들어간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더블클릭하면 잘 들어간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미지를 넣기위해선 Palette에서 ImageView를 생성하고

Select Design Surface를 선택해서 Blueprint를 선택하고 

ImageView를 선택하여 Attributes를 열면 srcCompat라는 속성을 볼 수 있습니다.

모양의 이미지를 클릭하거나 오른쪽에 길쭉한 빈공간의 원형을 클릭하게되면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해서 넣을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실행하면 완료!

 

안드로이드 형변환! 문자열과 정수를 바꿔보자

String사용해야하지만 Integer반환하는 경우 형변환을 해줘야한다.

 

Integer에서 String으로 변경해야 하는 코드

문자열과 문자열을 합쳤으니 문자열이 나와야한다. 

"100" + "1" = 1001

String에서 Integer로 변경해야 하는 코드

정수와 정수를 합쳤으니 정수가 나와야한다.

100 + 1 = 101

Log를 통해 값이 정상적으로 나오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Log출력에 관해서 알고 싶다면 참고

https://rjs5967.tistory.com/17

안드로이드 로그 확인방법! 현재의 값을 확인하자

 

개발을 하다보면

현재 값이 무엇인지 확인이 필요할때가 있는데

확인을 하기 위해 좋은 방법중 하나는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활용하고자 하는 코드 부분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하게 활용을 할 수 있는데 

문자열을 출력하고

정수를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Log를 사용하려면 String의 값만 적용되기 때문에 

형변환을 통해서만 로그를 활용할 수 있다.

출력되는 로그를 확인하려면 Logcat 이라는 출력창을 확인하면 되는데

상단의 작은 들 중에 원하는 로그의 종류만 선택해서 볼 수 있다. 

Log.dDebug 모드에서 사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Debug를 선택 후 확인하면 여러 로그들을 제외한 Debug에 해당하는 로그들만 필터되어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코드들을 차례대로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은 로그가 출력되어 나타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 Recent posts